우리 인체에서 폐라는 것은 공기 중에 산소를 얻고 혈액에 공급해 주며 그 혈액이 몸속으로 운반하며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해주죠. 그런데 기침이나 가슴 답답함, 호흡 곤란 등 증상이 나타나는 폐에 물이 차는 증상이 있다면 그 원인은 뭘까요.
심장의 혈액 전달 문제
심부전이라는 것은 심장이 우리 인체에 충분한 혈액을 원활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질환은 다양한 합병증을 부르기도 하는데 그중 하나가 폐부종이 있죠.
심장 펌프 기능이 약화되면 혈액이 충분히 순환되지 못하여 심장으로 돌아오는 경로인 정맥에 혈액이 정체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정맥 내의 압력이 증가하고 혈액을 내 보내는 폐정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 결과 폐정맥과 폐 모세혈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될 수 있고 이는 혈관 벽을 혈액이 통과하여 폐 조직 내로 스며듭니다. 그때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균형이 무너지고 폐에 물이 차는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장 질환으로 인한 폐부종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체내에서 체액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게 되면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죠. 신장이라는 것은 우리가 흔히 콩팥이라 부르는 것으로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을 정화하고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죠. 그런데 이 기능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다양한 합병증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체액 조절이 원활하지 않으면 체내에 물과 나트륨이 과하게 쌓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과 나트륨이 쌓이면 체내 혈액량이 증가하고 고혈압으로 이어질 수 있죠. 이는 심장에 부담을 주며 심장이 혈액을 폐로 펌프질 하는데 더욱 많은 노력을 합니다. 이 현상이 장기간 이어지면 심장 기능의 약화로 심부전과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폐부종의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죠.
간 질환으로 인한 간 기능 저하
간 기능이 떨어지는 것과 폐부종 사이에는 체내 액체 밸런스 변화, 혈액 순환의 문제로 인해 관련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간은 혈액을 정화하며 독소를 제거하고 ㅔ액의 균형을 조절합니다.
그런데 간 질환으로 인해 간이 손상되면 이러한 기능에 문제가 생기죠. 간은 혈액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단백질을 합성해 줍니다. 그런데 간 질환이 있다면 혈액 응고와 혈액의 압력을 유지하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그렇게 되면 삼투압이 감소하여 혈액과 조직 사이의 액체 균형이 무너집니다. 그렇게 되면 액체는 복수와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혈류 저항으로 인해 고혈압이 유발되어 간을 통과하는 혈액의 양은 줄어들고 복막 정맥을 통한 혈류 증가, 폐혈관에 부담을 주어 폐압이 상승되어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산을 등반하시는 분들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고산병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고도가 높아지게 되면 산소 농도가 감소하여 신체는 겪는 스트레스 반응으로 고산 폐부종이 유발될 수 있죠. 일반적으로 해발 2,500미터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소 농도가 감소하면 몸은 더 많은 산소를 얻기 위해 호흡이 증가되고 이는 빠른 호흡으로 이어집니다. 산소가 부족하면 폐혈관의 수축을 발생시키며 폐압은 증가합니다. 이러한 결과로 모세혈관에서 액체가 폐 조직으로 누출될 수 있죠.
이는 폐의 공기주머니인 폐포를 채울 수 있으며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숨 가쁨이 휴식하는 중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산 폐부종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감염으로 인한 질환과 폐렴
감염원으로 인해 폐에 감염이 일어나게 되면 신체는 이를 제거하려고 면역 세포를 해당 부위로 보냅니다. 이때 염증성화학물질이 방출되고 혈관의 투과성은 상승하죠. 그래서 혈액에 있는 액체와 단백질이 혈관을 빠져나와 주변 조직으로 유입됩니다.
원래라면 혈관과 조직 사이에 액체 균형이 잘 유지되어야 하는데 염증 반응이 이 균형을 무너뜨리죠. 그래서 이 액체는 폐포로 유입될 수 있고 폐포 내 공기와 산소의 교환 공간을 차지하여 호흡을 비효율적으로 만듭니다.
그렇게 되면 호흡 곤란과 기침, 가래가 많이 만들어지는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폐부종은 폐렴이나 기타 감염성 질환의 위험한 합병증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진단을 받아보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댓글